기사 메일전송
로이터 "북한 러에 20개월간 선박으로 포탄 수 백만 발 제공"
  • 김도영 기자
  • 등록 2025-04-15 22:54:38
기사수정

로이터 "북한 러에 20개월간 선박으로 포탄 수 백만 발 제공"


컨테이너 1만6천개 분량…러 국적 선박 4척 추적해 지원 규모 추정


쿠르스크 지역에 주둔중인 러시아 군인들 쿠르스크 지역에 주둔중인 러시아 군인들 [EPA=연합뉴스,뉴스저널코리아. 재판매 및 DB금지]


(뉴스저널코리아) 김도영 기자  = 북한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돕기 위해 20개월간 선박을 통해 수백만발의 포탄을 공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북한의 대대적인 무기 지원은 총 1만4천명으로 추정되는 북한군 파병과 결합해 러시아군에 중대한 이점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됐다.


로이터 통신이 영국에 기반을 둔 안보 관련 연구기관인 오픈소스센터(OSC)와 협력해 15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북한이 생산한 수백만발의 포탄은 2023년 9월부터 최근까지 약 20개월 동안 선박과 기차를 이용한 대규모 수송을 통해 우크라이나 전장의 최전선으로 이동했다.


로이터와 OSC는 러시아 국적 선박 4척이 이 기간 북한 라진항을 64차례 드나들며 1만6천여개의 컨테이너를 수송한 기록을 추적해 북한이 러시아로 보낸 포탄 규모가 수백만발 수준임을 확인했다.


선박들은 라진항에서 포탄을 싣고 러시아 보스토치니항과 두나이항으로 이동했고, 포탄은 기차에 실려 우크라이나 전선 탄약고로 보내졌다.


로이터는 선박 기록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가 가로챈 러시아 포병 보고서, 위성 이미지, 진위가 확인된 SNS 영상, 우크라이나 고위 당국자 등을 광범위하게 취재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군 정보 책임자를 포함한 당국자들은 북한이 러시아가 전선에서 필요로 한 탄약의 절반을 공급하고 있다고 말했고, 군 소속 한 전문가는 북한의 기여도가 70%에 달한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이같은 분석이 자체 취재와도 부합한다면서, 러시아 포대는 때때로 북한 탄약에 전적으로 의존한다고 보도했다.


휴 그리피스 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 조정관은 "북한의 기여는 전략적으로 중요했다"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지원이 없었다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을 수행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우크라이나 국방부 산하 정보총국(GUR)은 북한이 2023년 중반 이후에만 400만발의 포탄을 러시아에 제공했고, 이 중 4분의 3 이상은 러시아 지상 무기의 핵심인 122mm, 152mm 구경 포탄이었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또 우크라이나에 생포된 북한군 2명이 초기에 자살하려는 경향을 보였다고 우크라이나 정보당국 문서를 인용해 전하기도 했다.


로이터는 이밖에 우크라이나측이 감청해 제공한 북한군의 대화,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의 전황, 생포된 북한군의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 이번 참전을 통한 북한군의 전투역량 강화 등으로 나눠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활약을 상세하게 보도했다.


작년 11월 미국에서 열린 한미 2+2 장관회의에서 김용현 당시 국방장관은 북한이 러시아에 지원한 무기 규모에 대해 "포탄은 1천만 발에 가까운 수백만 발로 이해하면 되고 미사일은 1천여 발 정도 지원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뉴스저널코리아) 김도영 기자


(끝)


TAG
0
유니세프
국민 신문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