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오물풍선 반복 사태에 대북 확성기 매일 튼다
  • 김도영
  • 등록 2024-07-19 18:55:54
기사수정

오물풍선 반복 사태에 대북 확성기 매일 튼다…긴장 고조 가능성


2015년 대북 확성기 가동 때는 서부전선 포격 도발 감행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서울=연합뉴스) 대통령실은 9일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의를 열어 이날 중 대북 확성기를 설치하고 방송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 2004년 6월 서부전선에 설치된 대북 확성기가 철거되는 모습. 2024.6.9 [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스저널 코리아 김도영 기자] = 군 당국이 대북 심리전 수단인 전방지역 확성기 방송을 19일부터 매일 가동하기로 한 것은 거듭된 경고에도 북한이 대북 전단을 빌미로 한 대남 오물풍선 살포를 멈추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대북 확성기 방송에 민감한 반응을 보여온 북한이 이에 반발해 도발에 나서면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이 수위가 크게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


군은 지난달 9일 북한의 오물 풍선 등 도발에 대응해 대북 확성기 방송을 6년 만에 2시간 동안 가동했다. 그러면서도 향후 가동 여부는 '북한의 행동에 달려있다'며 태도 변화를 촉구하면서 재가동은 자제해왔다.


북한이 두려워하는 '대북 확성기 방송'을 카드로 도발을 자제시키려는 취지로 분석됐다.


그러나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는 계속됐고 전날 대북 확성기 방송을 10시간가량 가동했음에도 이날 또 오물 풍선 부양 움직임이 포착되자 '매일 가동' 방침을 정한 것이다.


군은 아직 전면적 방송 재개 결정까지 나아가진 않았다. 올해 들어 이날까지 이뤄진 3차례의 대북 확성기 가동 때와 마찬가지로 일단 고정식 확성기 일부만 이용할 계획이다.


2018년 4월 '판문점 선언'에 따라 철거 및 철수되기 전까지 대북 확성기는 최전방 지역 24곳에 고정식으로 설치돼 있었고 이동식 장비도 16대가 있었다.


합참 관계자는 "당분간 매일 서부전선과 중부전선, 동부전선에 배치된 대북 확성기를 돌아가면서 일부만 가동할 예정"이라며 "주로 고정식 확성기가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합참은 방송 시간도 종일 방송이 아니라 매일 일정 시간을 정해 시행하기로 했다.


그런데도 북한이 계속 오물 풍선을 살포하거나 다른 도발을 감행하면 확성기 가동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면 가동되는 확성기 수를 늘리고 결국엔 전방 지역에 배치된 확성기가 전면 가동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6년 동안 보관하던 고정식 및 이동식 확성기의 재가동 준비를 이미 마친 상태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1963년 박정희 정부 때 시작돼 노무현 정부 때인 2004년에 남북 군사합의를 통해 중단된 바 있다.


이후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때 천안함 피격 도발(2010년)과 지뢰 도발(2015년), 북한의 4차 핵실험(2016년) 등 북한의 도발에 대한 대응 조치로 일시적으로 재개되기도 했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뉴스와 K-팝 등의 콘텐츠가 담긴 대북 심리전 방송인 '자유의 소리'를 확성기로 재송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고출력 스피커를 이용한 대북 확성기 방송은 장비와 시간대에 따라 청취 거리가 10∼30㎞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북한 군인과 주민의 동요를 끌어내는 효과가 있어 북한이 민감하게 반응해왔고, 남북대화 때마다 강하게 중단을 요구해왔다.


2015년 북한의 목함 지뢰 도발에 대응해 당시 박근혜 정부가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했을 땐 북한이 서부전선에서 포격 도발을 감행하기도 했다.


이번에도 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에 반발해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도 있다.


합참은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군의 활동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으며,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끝)


0
유니세프
국민 신문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